popup zone

교육목표

건축교육(Architectural Education)의 기본목표는 졸업생이 건축분야의 다양한 사회적 필요조건을 이해하고 복합된 문제해결과정을 통해 사회와 개인의 건축적 요구를 물리적 환경으로 형상화하는 능력과 리더쉽을 갖추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건축전문인이 갖추어야 하는 학문적 지식과 기술적 능력은 다음과 같다.


1. 설계통합(Design Integration)

상상력을 동원하여 창조적으로 사고할 수 있으며 설계 리더쉽을 발휘한다. 설계정보를 수집하고, 문제를 정의하며, 분석과 중요 판단을 통하여 건축행위를 한다. 3차원적 사고를 통하여 디자인 이슈를 끌어내며 폭넓고 깊이 있는 대안을 수립한다. 설계해결안 도출을 위한 다양한 설계요소를 절충하고 필요한 지식을 통합할 수 있다.


2. 문화적 연구(Cultural Studies)

세계 건축역사와 이론을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建造환경에서 역사적 유적과 문화 보전의 이슈를 이해한다. 세계 철학과 정치를 이해하고 예술, 디자인, 음악, 문학과 기타 창의적 학문활동의 문화적 동향을 파악한다.


3. 디자인 연구(Design Studies)

디자인 이론과 방법을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디자인 과정과 절차를 이해하고 형태적 질서체계와 건축이론, 그리고 건축공간의 성능기준을 이해한다.


4. 환경적 연구(Environmental Studies)

자연 시스템과 건조 환경의 지식을 갖추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도시설계, 지역 및 도시계획의 지형적, 경제적, 사회적 이슈와 실무환경에 대한 영향력을 이해한다.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이슈를 이해하며, 열ㆍ조명ㆍ음향 등의 에너지사용절감과 환경충격절감을 위한 자연형 시스템을 이해한다. 자연시스의 관리와 조경설계를 인지한다.


5. 사용자 연구(User Studies)

사회, 건축주와 건물사용자에 관한 지식과 대처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프로젝트 요구사항(brief)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과 건조환경의 다양한 유형에 대한 기능적 요구 사항을 조사하여 정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6. 기술적 연구(Technical Studies)

기술설계 과정 및 구조, 시공과 설비시스템의 기능적 일체성을 이해한다. 열쾌적, 조명, 음향 관련 설비의 이해와 수송, 통신, 유지를 인식한다. 실시 설계 시 기술도서의 역할 인지와 시공, 전산 과정을 인식한다.


7. 실무연구(Implementation Studies)

건설 및 개발산업의 운영과 재정적 구조, 부동산투자, 조달방식 및 유지 보수관리 대안을 인지한다 설계사무소와 프로젝트 관리 원리를 이해하며, 건조환경개발과 설계감리 서비스 계약 및 전문적 자문행위에 활용한다. 건축사 헌장과 윤리 규약, 행위 규약을 이해하여 건축실무에 적용될 때 건축사의 등록, 실무, 계약에 관한 법적 책 임에 대하여 이해한다.


8. 전문 자격 기량(Professional Skills)

발표, 계산, 보고서 작성, 드로잉, 모델링과 평가 기량을 발휘하여 자신의 아이디어를 타인과 소통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설계안을 실험하고 발전시키면서 정의하고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수작업 또는 컴퓨터 작업과 모델작업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건조환경의 성능평가(열, 빛, 에너지, 구조, 조명 등)을 위하여 컴퓨터 작업을 통해 건축평가 시스템의 사용을 이해한다.


진로 및 취업

건축학의 실무분야는 다양한 특성이 있으며 졸업생들의 진로는 산·학·연·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산업계로는 건축계획, 건축설계, 생태환경, 도시설계, 조경설계, 부 동산개발 분야의 설계사무소, 엔지니어링업체, 컨설팅사 와 건설, 금융, 디자인 IT 관련 대기업 등이다. 연구소로 는 건설기술연구원, 주택도시연구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등의 국책연구원이 있으며, 학계는 국내 대학원 진학 및 해외유학이다. 관계는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과 대한주택공사, 한국토지공사, 수자원공사 등의 공공기관으로의 취업이다.